대한매일 : 1999년 07월 30일
[외언내언] 종이의 종말?


비디오예술가 백남준(白南準)씨는 “모든 종이는 죽었다.크리넥스를 제외하고는…”이라고 일찍이 선언했다.니체의 “신은 죽었다”는 화두(話頭)를 빌>린 이 선언은 인류문명의 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한 종이의 효용성을 화장지에 국한시킴으로써 기존의 문명체계가 송두리째 변할 것을 예언한 것이다.이 예언은 ‘미디어의 이해’(1964년)라는 책을 통해 활자시대의 종말과 전자시대의 도래를 선언한 마셜 맥루한과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미디어의 >이해’ 첫 장에는 ‘구텐베르그여 안녕(Good-Bye to Gutenberg)’이라는 글귀까지 쓰여 있었다.


브리태니카사가 백과사전의 인쇄본 발행을 중단하고 CD롬판만 발행키로 했다는 소식은 두 사람의 예언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브리태니카사가 1771년부터 228년간 출판해온 백과사전의 인쇄본 발행을 중단한 것은 종이,즉 활자매체의 죽음을 알리는 조종(弔鐘)처럼 들린다.브리태니카사는 소비자들이 인쇄본에 비해 값싸고 편리한 CD롬을 더 선호한다고 밝혔다.


정보화기술의 발달에 따라 종이(책)가 사라질 것인가,아닌가 하는 문제는사실 첨예한 논란거리다.컴퓨터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대체로 종이의 죽음을 주장한다.그들은 21세기 초에는 종이책이 사라져 골동품 취급을 받을 것이라고 얘기한다.급변하는 사회에서 인쇄가 끝나자마자 구문(舊聞)이 돼버리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무겁고 두꺼운 종이책과 달리 디지털책은 내용 변경과 최신 정보 교환이 쉽고 부피도 적어서 기존의 도서관이 필요없게 될 것으로 보기도 한다.우리 저작권법도 ‘종이’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에 맞추어 지금 개정 작업중이다.


그러나 종이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이들도 많다.사전이나 전
화번호부,사용설명서(매뉴얼) 등 기능적인 책들은 디지털화하겠지만 교양적 사색과 사상적 탐구를 위해서는 반성적 읽기가 필요하고 그런 책들은 디지털화된 ‘흐름의 매체(streaming media)’ 속에 편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종이는 죽었다”고 선언했던 백남준씨도 지난 80년대 판화전을 열면서 “종이가 지닌 요약,정리의 기능은 아직 살아 있다”고 말한 바 있다.한편 컴퓨터 사용이 많은 사무실에서는 오히려 종이 사용이 늘고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여기서 종이는 컴퓨터에 종속된 것이기 때문에 크리넥스와 다를 바 없다.


어쨌거나 종이의 중요성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종이가 완
전히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종이가 거의 사라지다시피한 세상이 다가오고 있다 것이다(빌 게이츠).디지털혁명이 본격화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 혁명에 참여할 준비가 얼마나 돼 있는지 궁금하다.


[임영숙 논설위원]